?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876년 로키엘호(Lochiel)를 타고 호주에 도착한 존 코리아(John Corea)

안타깝게도 이 배의 승객 명단이 존재하지 않아 본명을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이 배가 중국 상하이와 호주를 오가며 차를 나르던 무역선이라는 기록은 찾을 수 있었다.

존 코리아의 한국 이름은 알 수 없지만 1894년 그의 귀화 자료(아래 사진 참조)를 살펴보면 그는 뉴사우스웨일스주 서부에 있는 작은 마을 ‘골골(Gol Gol)’에서 양털깎이로 일을 했던 것으로 기록된다. 이 자료에 의하면, 그는 35세의 ‘코리아 출신자 (native of Corea)’로 명시돼 있다.



연구 시작부터, 존 코리아가 이탈리아 꼬레아가 아닌 조선에서 온 사람임을 밝히는데 주력했다.

존 코리아는 1876년 호주에 도착하고 1894년에 호주로 귀화했다. 귀화 전인 1879년에는 브로큰 힐 인근에 있는 실버턴에서 광산권 획득을 시도한 바 있고, 1889년까지 이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때까지 양털깍이 등을 하며 생활을 유지했던 것 같다. 코리아는 귀화한 다음 해인 1895년에 서호주 쿨가디에서 광산 면허를 신청했다. 하지만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귀화한 사람으로, 여기[서호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당시 광산권 허가 담당자였던 퍼시 필딩의 정부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존 코리아는 여기에서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이번엔 뉴사우스웨일스주 브로큰힐 북부 화이트클리프에서 다시 도전장을 던졌고 1903년 마침내 광산 면허를 취득했다. 그는 틀림없이 광산 채굴로 약간의 돈을 벌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1902년에는 한 지역 신문에 “미스테리 수표 분실 사건”라는 제목의 존 코리아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친구들과 함께 축구 경기를 관람하던 존이 당시 돈으로 150 파운드에 달하는 수표를 잃어버렸는데, 나중에 이 수표가 겉과 안이 바뀐채로 접히어서 다시 같은 경기장에서 발견되었다는 내용이다.



불행히도 존 코리아는 말년에 결핵에 걸렸고 애들레이드 병원에 입원한 기록이 나온다. 그는 노동자들에게 저렴한 숙소를 제공하기 위해 구세군이 운영하던 한 시설에 머물렀다. 당시 병원 기록에는 존 코리아의 출생지가 ‘Japan’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은 1910년 주권을 잃었고 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고 있었기에 그의 출생지가 한국이 아닌 일본으로 쓰여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로 여져질 수 있다. 오히려 이 사실을 통해서 존 코리아가 한국 출신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1924년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결혼도 하지 않았고 자식도 없었다. 그의 장례식은 이웃주민이거나 동료로 예측되는 이블린과 리처드 로버트슨 부부에 의해 치러졌다. 에블린은 1924년 8월 6일 지역 신문에 존 코리아의 장례식을 위한 광고를 냈다. 그는 밀두라에 있는 니콜스 포인트 묘지에 묻혔다.



존 코리아가 어떤 경로를 통해 호주에 왔는지 모르지만, 1876년에 그가 호주에 도착했을 때 그의 나이는 겨우 17살이었다. 그가 사망한 후 남긴 재산은 니켈 시계와 전쟁 채권을 포함한 425 파운드 (현재 시가로 호주달러 3만8천불 가량)의 저축이 전부였다.



만약 존 코리아에게도 생존한 자녀들이 있었다면 오늘날 호주 사회에서Corea 성을 가진 3,4 세대 재호한인을 만날수 있었을 것이다. 그는 갔지만, 그가 남겨준 꿈과 도전정신, 지역 사회와의 우정은 아직도 살아있다. 호주 최초의 한국인으로 여겨지는 존 코리아를 기억하며, 그가 편히 잠들어 계시길 기원한다.


전문:

https://www.sbs.com.au/language/korean/ko/article/retracing-the-steps-of-john-corea-the-first-korean-australian/20q1sbvnt

강화도조약이 체결된 1876년에
조선에서 호주로 어쩌다 넘어가신 건지..


?

  1. 미국 땅크기 간단하게 체감 ㄷㄷ

    Date2025.04.14
    Read More
  2. 오늘자 시총 10조 코인 먹튀 발생?

    Date2025.04.14
    Read More
  3. 요즘 네이버에서 무한증식중이라는 허위리뷰

    Date2025.04.14
    Read More
  4. 부모의 트라우마는 자식에게 유전이 된다.

    Date2025.04.14
    Read More
  5. 반박불가 군필자들 호들갑 떠는 거 원탑

    Date2025.04.14
    Read More
  6. 1876년 호주의 첫 한인 이민자?

    Date2025.04.14
    Read More
  7. 공포의 윤은혜가 결혼 안하는 이유

    Date2025.04.14
    Read More
  8. 요즘 해외 여자들 사이에서 민심 안좋다는 호날두 근황

    Date2025.04.14
    Read More
  9. 극심한 스트레스로 탈모 왔다는 강형욱 근황

    Date2025.04.14
    Read More
  10. 최근 한일 서로에 대한 호감도

    Date2025.04.14
    Read More
  11. 월세 2,500만원 한강뷰 수준

    Date2025.04.13
    Read More
  12. 한국의 서울집중화 해결이 어려운 이유

    Date2025.04.13
    Read More
  13.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벚꽃섬

    Date2025.04.13
    Read More
  14. 요즘 소아과 근황

    Date2025.04.13
    Read More
  15. 나라에서 양질의 일자리 못 만드는 이유

    Date2025.04.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746 Next
/ 2746

서비스 링크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