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26783_1000x581.jpg)
대만은 외국에게 국방을 의존할려는 태도로 유명함.
근데 이건 단순 나약함을 떠나 현실적 문제도 존재하는데
그건 바로 대만에 제대로 된 군수산업이 없다는거임.
실제로 대만제 무기에 대해서 들어본 사람 거의 없을거임.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27224_1000x377.jpg)
그리고 이렇게 된 이유는 바로 대만의 경제 및 산업
발전 루트랑 밀접한 연관을 띄고 있어 하루 아침에
바뀔수도 없다는거라 더 절망적.
왜냐면 산업의 하청화가 근본 문제기 때문.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27615_1000x664.jpg)
대만은 한국 인구 절반 수준으로
애초에 내수로 뭘 해보기 힘든 환경이었고
성장하기 위해 택한건 가장 근접한 경제대국이었던
일본의 하청기지 역할로, 일본에게 투자받고
일본이 완제품 만드는데 필요한 부품들을 제공하는거.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309528033.png)
[ 199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초까지 대만 최저임금 정체 ]
그러다가 일본 고성장 시기가 꺼지며 침체가 오고
한국에게도 추월당했다가,
대안을 모색해 보다 세계화되고
고부가가치로 올라가면서 성공한게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309528477.jpeg)
바로 애플 하청받는 폭스콘이나
파운드리 세계 최강자 TSMC임.
언뜻보면 이것도 장점이 없진 않으나,
군수산업 육성의 기반이 되는건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28918_1000x310.jpg)
[ 2차대전 미국 대량 양산 기반부터가 당시 자동차 기업인 GM과 포드의 생산라인이 군수 생산라인으로 전환하면서인건 유명함 ]
자동차, 기관차등의 중공업임. 그런데 위에서
말했듯 대만은 중공업 완제품을 제대로
만들어본적이 없음. 말 그대로 하청으로
성공했기 때문.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7931_1000x717.jpg)
[ 2025년 대만 초고령화사회 진입 ]
그리고 이미 한국과 마찬가지로
초고령화 루트를 탄 상황에
이미 저 하청 모델이 성장을
견인하는 상황에서 산업구조를
바꿀려고 해도 바꾸기도 힘듬.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309579646.png)
[ 세계 철강 산업 ]
외부적으로는 세계 중공업 시장은 이미 중국이
다 해쳐먹었기도 하고.
현재 한국 탱크를 만드는거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80485_1000x322.jpg)
한국 자동차나 기관차 기술이 그대로 쓰이고
군함 생산도 조선업 역량 강한 국가들이
발전하듯 똑같음.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80799_1000x865.jpg)
[ 대만 자동차 시장은 대부분 일제가 먹음 ]
그리고 대만은 그런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은 커녕 내수 조차도
외국산에 먹힌지 오래임. 하청으로 돈 벌어서
철강등 원자재부터 중공업 관련은 직구매를
하거나 받아다 썼거든.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81154_1000x442.jpg)
이와 가장 극명한 반례는 옛날 깡통이라 조롱받았던
중국 탱크 및 장갑차들이
최근 비약적 발전을 이룬것과 같음.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81471_1000x816.jpg)
[ 자동차 최대 수출국으로 등극한 중국 ]
꾸역꾸역 자국에서 생산하고, 해외 기업
인수해 기술 흡수해 이제 자동차 수출을
할 궤도에 오르니 그런 관련 기술이 전부
중국 탱크등으로 연결되는거임.
![](https://www.issuya.com/data/editor/2501/thumb-17374309581775_1000x265.jpg)
그 옛날 고대 중국에서 병기를 만들기 위해
동원된 철은 바로 농기구를 만드는
그 제철소에서 양산된거듯 결국 민간 산업은
곧 군수산업의 발전과도 밀접한 연관을 지님.
![](http://www.issuya.com/data/editor/2501/1737430958206.png)
[ 탱크랑 자주포 생산량 ]
열강들은 대부분 산업혁명을 성공시켰고
그중에서도 치고나간게
대규모 중공업의 성공을 거둔
미국, 독일, 소련인건 결코 우연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