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69049_1000x2268.jpg)
미국 하면 떠오르던 흰머리수리가 12월 24일 드디어 국조로 공식 지정됐다.
흰머리수리가 가장 많이 서식하는 미네소타주 의원들이 주도적으로 발의했다고 한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6954_1000x750.jpg)
물론 이제서야 법적으로 인정됐다는 뜻이지,
흰머리수리는 일찍이 미국 국장에도 들어가 있을 정도로 대표적인 상징물이었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69925_1000x572.jpg)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044_1000x1182.jpg)
로마 제국이 그랬듯 용맹한 수리(eagle)는 용맹과 힘의 상징으로 여겨졌고,
더군다나 흰머리수리는 아메리카 토착종이었기 때문.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0909_1000x1000.png)
미국 국장은 요렇게 생겼다.
좌우 발에 쥔 올리브 가지와 화살은 각각 의회 독점 권한인 '평화'와 '전쟁'을 의미.
화살 개수는 13개로, 미국 독립전쟁 당시 13개 식민지(건국주)를 가리키고 있음.
입에 물고 있는 라틴어 문구 역시 딱 13글자로, 뜻은 연방 국가에 걸맞는 여럿으로 이루어진 하나.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1352_1000x720.jpg)
재밌는 건 처음부터 흰머리수리는 아니었다는 사실.
미국의 문장학 권위자 윌리엄 바튼이 1782년 처음 선보인 국장 도안에선 그냥 전신이 하얀 수리였다.
오히려 수리보단 매에 가까워 보이기도 하는 생김새였는데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1742_1000x1043.jpg)
곧이어 국장 디자인을 맡은 찰스 톰슨이란 인물이 저 맹금류만 남긴 다음, 아예 흰머리수리로 바꿔 버렸다.
그리고 이 버전이 현재 미국 국장으로 발전하게 됨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4279_1000x1256.jpg)
하지만 흰머리수리가 미국 상징이 되는 데 모두가 찬성한 것은 아니었으니....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5642_1000x820.jpg)
대표적인 반대파가 바로 '건국의 아버지' 최고 네임드 중 하나이자 팔방미인인 미국 달러 최고액권(100$) 주인공,
벤자민 프랭클린이었음.
프랭클린은 찰스 톰슨의 디자인을 보자마자 탄식하며 이렇게 말했는데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6048_1000x1043.jpg)
야 생긴 꼬라지가 이게 뭐냐? 이게 칠면조지, 수리야?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8559_1000x820.jpg)
게다가 흰머리수리 이놈들 얼마나 게으른데, 고기도 지 힘으로 안 잡고 뺏어 먹기나 하지. 또 지들보다 한참 작은 새들한테도 쫓겨 줄행랑치기 일쑤다.
![](http://www.issuya.com/data/editor/2412/17352562878999.jpeg)
그야말로 흰머리수리들은 도덕적으로 '해로운 새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9374_1000x820.jpg)
이토록 흰머리수리를 신랄히 디스하던 프랭클린,
사실 그에겐 일찍이 미국의 상징으로 밀어온 자신 만의 '픽'이 있었는데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79975_1000x563.jpg)
그것은 바로 미국 대표 독사인 '방울뱀'이었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90795_1000x721.jpg)
프랭클린은 1754년 프렌치-인디언 전쟁 때부터 훗날 미국이 되는 영국령 북미 식민지를 방울뱀에 빗대는 만평을 그렸는데
위 표어는 '뭉치지 않으면 죽는다'는 뜻으로, 식민지들의 일치 단결을 호소하는 의도였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93471_1000x667.png)
프랭클린이 밀던 방울뱀은 나름 호응이 있었는데,
미국 독립전쟁 당시 미국 최초 해군 사령관인 에섹 홉킨스가 자기 깃발에 방울뱀을 그려 넣으며 짤막히 적었다
날 밟지 마라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93877_1000x820.jpg)
그렇다면 프랭클린은 왜 간지 나는 하늘의 왕자인 흰머리수리가 아닌, 땅을 기어다니는 방울뱀을 더 좋아했을까?
그의 발언을 인용하며 글을 마친다
![](https://www.issuya.com/data/editor/2412/thumb-17352562894307_1000x751.jpg)
방울뱀의 눈은 어느 동물보다도 밝고, 눈꺼풀이 없다. 덕분에 언제나 경계 태세를 늦추지 않는 것이다.
방울뱀은 또 상대를 먼저 공격하는 일이 없다. 대신 한번 공격을 당하면 절대 항복하지 않는다. 관대함과 진정한 용기의 화신이다. 우리 미국과 잘 어울리지 않나.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내가 방울뱀 꼬리 방울을 세보니 딱 건국주 개수와 같은 13층이었다는 사실이다! 대단한 우연의 일치가 아닌가!
![](http://www.issuya.com/data/editor/2412/17352562894721.jpeg)
끝